타워크레인 19

타워 크레인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술

타워 크레인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술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최신 타워 크레인 기술은 현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프로젝트의 리프팅 능력을 향상시킵니다.제조업체는 새로운 타워 크레인에 필요한 운영상의 이점을 인식하고 가장 요구되는 안전 기능이 무엇인지 식별하여 시장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Terex 타워 크레인 건설 장비 제조업체인 Terex가 곧 도시형 플랫 탑 타워 크레인의 새 버전을 시장에 출시하면서 CTT 152-6은 최대 지브 길이가 60미터이고 팁 하중이 최대 1.91톤인 6톤 리프팅 용량 크레인으로 설치가 쉽고 S-Pace 캐빈과 Power Match 및 T-Torque 선회와 같은 최신 Terex 기술이 제공되어 일상적인 리프팅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회사는 ..

타워크레인 작업하면 기록 남는다…‘블랙박스’ 의무화 본격 추진

타워크레인 작업하면 기록 남는다…‘블랙박스’ 의무화 본격 추진 LH 공공주택 현장부터 시범사업 추진 안전 작업환경 및 부당 지시 방지 취지 타워크레인 사고 발생시 책임소재 규명 시행규칙 고쳐 제도화한 뒤 법률 개정 신규 조종사 위한 인턴 프로그램 진행 ‘작업 실하중 0.4t, 작업반경 16.1m, 풍속 3.5m/s…’ 작업기록장치가 부착된 타워크레인은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변경되는 데이터가 기록으로 남았다. 데이터 기록 외에도 타워크레인에 부착된 작업부 폐쇄회로(CC)TV는 건설현장 전반을 비췄다. 타워크레인에 자동차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부착해 작업 상황 전반을 기록에 남기는 의무화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정부는 공공주택 건설현장에 한해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시행규칙을 고쳐 제도화한 뒤,..

타워크레인 등 부적합 건설기계 많아

타워크레인 등 부적합 건설기계 많아 부적합 건설기계 12만6000대 타워크레인 사고 65건…덤프트럭 부적합 판정 ‘높아’ 최근 5년간 부적합 타워크레인에서 발생한 사고가 65건에 달했다. 5년간 부적합판정을 받은 건설기계는 12만6000대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 7월까지 부적합 타워크레인에서 발생한 사고 건수는 65건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8년 12건 △2019년 18건 △2020년 17건 △2021년 11건 △2022년 7월까지 7건으로 매년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한편 같은 기간 건설기계 정기검사 결과 부적합판정을 받은 건설기계는 모두 12만6331대였다. 연..

타워크레인 역사적 관점에서 생산활동의 변화(2)

5. POTAIN 라이선스 프로그램 1970년대부터 Potain은 현지 경쟁업체가 등장하고 번창하던 주요 유럽 시장에서 판매 기회가 줄어들자 해외 제조 라이센스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관세나 규제 장벽에 의해 보호되는 시장뿐만 아니라 원격 시장을 개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신흥' 시장에서는 소형 크레인에 대한 수요가 많았으며 Potain FO/23B는 가능성이 큰 모델이었다. POTAIN 라이선스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5년 동안 계약을 통하여 엄격한 조건과 명확하게 정의된 단계에 따라 잘 지원되는 계획으로 제공되었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회사는 (1단계: Tower and jib, 2단계: counterjib and cathead or A Frame, 3단계..

카테고리 없음 2022.07.18

타워크레인 역사적 관점에서 생산활동의 변화(1)

타워크레인 역사적 관점에서 생산활동의 변화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타워크레인은 지난 120년간 어떤 형태로든 세계를 건설하는데 사용되었다. 물론 다른 종류의 크레인, 특히 이동식 크레인도 상당한 기여를 하였지만 타워크레인이 지배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20세기 중반부터 점점 더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Chortsey Bar Associates 분석에 따르면, 수년간 400개 이상의 회사가 40여 개국에서 타워크레인을 제조했다. 1900년대 초부터 생산되고 판매된 유닛의 수는 기본적으로 셀 수 없지만, 대부분은 확실히 수백만 개에 이른다. 그러나 타워크레인 산업과 시장은 상당히 느리게 발전하였으며, 주로 안전과 안정성에 관한 기술적 도전은 잠재적 구매자와 크레인 제조업체 모두에게..

카테고리 없음 2022.07.04

타워크레인 사고예방을 위한 건설현장 관리감독 강화

타워크레인 사고예방을 위한 건설현장 관리감독 강화 - 타워크레인 설치대수 최고치에 따라 전국 현장에 선제적 안전관리 시달 - □ 정부가 타워크레인 사고예방을 위해 건설현장에 철저한 장비점검과 선제적인 안전관리에 나섰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국내 건설공사현장의 타워크레인 설치대수가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약 3천5백대 초과 예상, 5백대↑)하여, 최근 5년 내 설치대수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최근 5년간 타워크레인 설치 현황] ㅇ 타워크레인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절차 준수와 철저한 장비관리 및 관리·감독 강화지침을 건설 공사현장에 시달(7.23)했다. * (연간 설치대수, 사망자) (‘17) 3,486, 17명 (‘18) 3,088, 0명 (‘19) 2,74..

국토부 건설기계심평위, 등록말소 타워크레인 120대 재형식승인 신청 반려

국토부 건설기계심평위, 등록말소 타워크레인 120대 재형식승인 신청 반려 - 시정조치(리콜) 명령 9개 기종 249대의 시정조치계획도 심의 - □ 국토교통부 건설기계 제작결함 심사평가위원회(이하 “심평위”)는 4.16일 위원회를 개최하여, 지난 2월 등록말소된 타워크레인 120대*와 리콜대상 타워크레인 249대**에 대한 시정조치계획서 및 형식승인 서류를 검토한 결과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반려한다고 밝혔다. * 등록말소(120대) : FT-140L(19대), CCTL130-L43A(90대), CCTL140-43A(11대) ** 시정조치(249대) : CCTL80A(57대), CCTL80B(27대), CCTL110(38대), CCTL90(20대), CCTL90A(5대), CCTL150A(..

PPVC에 의한 건축 환경 변화와 타워 크레인(2)

PPVC에 의한 건축 환경 변화와 타워 크레인(2) 건설기계산업연구원장 김인유 볼트형 건물 1972년 도쿄의 Nakagin Capsule Tower에 대한 아이디어는 2.5 x 2.5 x 4미터 크기의 1개의 방 포드가 4개의 고전압 볼트를 사용하여 리프트 코어에 볼트로 고정되어 건물의 나머지 부분을 방해하지 않고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모듈은 25년마다 교체용으로 설계되었으며 유연한 구조의 수명은 200년이다. 불행하게도, 캡슐을 삽입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상부 캡슐만 제거될 수 있다. 낮은 것을 교체하려면 그 위의 모든 것을 제거해야 합니다. PPVC 프로젝트의 활기찬 시작은 2016년부터 싱가포르에서 시작되었다. 건설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야심 찬 정부 로드..

PPVC에 의한 건축 환경 변화와 타워 크레인(1)

PPVC에 의한 건축 환경 변화와 타워 크레인(1) 건설기계산업연구원장 김인유 최근 건축현장은 과거의 건축 방식에서 PPVC(prefabricated pre-finished volumetric construction : 조립식 프리 마감 형체 제작) 방식으로 환경이 변화되고 있어 타워크레인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 PPVC(prefabricated pre-finished volumetric construction : 조립식 프리 마감 형체 제작) : 조립식 건축 기술로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천재지변의 악영향을 최소화하며, 각 조립부분의 품질관리를 더욱 세밀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조립식 건물은 건설에 필요한 요소들은 외부에서 사전 제작하여 건설 현장으로 운송하는 건설 프로세스를 의미..

제작결함 타워크레인 건설현장서 퇴출

제작결함 타워크레인 건설현장서 퇴출 - ㈜덕성타워 중국서 수입․판매한 1개 형식 7대 등록말소‧판매중지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지난 2월 24일 용산 KT 데이터센터 신축공사 현장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타워크레인 1개 형식(DSL-4017) 총 7대에서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등록말소와 판매중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ㅇ 이미 판매되어 운영 중인 7대 타워크레인에 대해서는 등록을 말소하여 사용이 불가하도록 하고, 이와 별도로 해당 형식의 타워크레인은 더 이상 판매하지 못하도록 판매중지 명령을 부과한다. □ 이번 조치는 용산 KT 데이터센터 신축공사 현장 타워크레인 사고*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제작결함 조사를 실시하고, 건설기계 제작결함 심사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