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크레인 2020년 상반기 사고 분석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원장 김인 유
크레인은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요한 장비이다. 특히 건설현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장비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의 변화로 인한 크레인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대두되고 있다 할 수 있다.
2020년 상반기(1월~6월 말까지) 세계 크레인 사고 분석하기 위하여 세계 크레인 관련 잡지를 조사하여 세계 크레인 사고 현황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 세계 크레인 상반기 사고 건수 분석
세계 크레인 2020년 상반기(1월~6월 말 기준) 크레인 사고 건수는 총 38건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미국이 11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다음으로는 영국이 6건, 독일이 5건, 인도 3건, 캐나다와 스위스가 각각 2건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1] 세계 크레인 상반기(1월~6월) 사고 건수
2. 크레인 중대 재해(사망, 부상) 분석
세계적으로 크레인 사고로 인한 중대해는 총 사망자가 10명, 부상자는 32명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국가별로 보면 인도가 사망자 5명, 부상자 13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독일의 경우는 부상자만 12명, 미국은 사망자 2명, 부상자 3명, 영국, 남아공, 아일랜드는 각각 사망자 1명, 캐나다, 일본, 핀란드, 호주 등은 각각 부상자 1명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크레인 사고가 발생하였으나 사망자와 부상자가 없는 국가로는 스위스, 벨기에, 스페인, 크로아티아, 네덜란드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2] 세계 크레인 상반기(1월~6월) 중대 재해(사망자, 부상자) 분석
3. 세계 크레인 기종별 사고 분석
세계 크레인 사고를 기종별로 구분해 보면, 이동식 크레인 사고가 79%(30건)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름으로는 항만 및 해상용 크레인이 10%(4건), 타워크레인이 8%(3건), 로더 크레인(카고 크레인)이 3%(1건)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국가별로 보면, 이동식 크레인의 경우는 미국이 11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영국이 4건, 독일, 캐나다, 인도 등이 2건으로 나타나 내고 있다. 항만 및 해상용 크레인의 경우는 독일, 영국, 인도, 호주 등에서 1건씩을 기록하고 있다. 타워크레인의 경우는 독일이 2건, 영국이 1건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로더 크레인(카고 크레인)의 경우는 스위스에서 1건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림 3] 세계 크레인 상반기(1월~6월) 기종별 사고 건수
[그림 4] 세계 크레인 상반기(1월~6월) 국가별 사고 건수
4. 세계 크레인 사고 원인별 분석
세계 크레인 사고 원인별 분석으로 보면, 전복이 전체의 50%(19건)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붐 떨어짐이 16%(6건), 화재 8%(3건), 강풍 8%(3건), 교통사고가 5%(2건), 중량물 낙하 5%(2건), 번개 사고 2%(1건), 협착 3%(1건), 기계결함 3%(1건)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5] 세계 크레인 상반기(1월~6월) 크레인 사고 원인별 분석
자료 :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자체 조사 자료
세계적으로 사고 발생 원인으로는 전복사고가 가장 자주 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복사고 총 19건 중에 작업의 불안전성이 7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아웃트리거 불안전이 5건, 연약지반 설치가 3건, 교통사고가 2건, 강풍에 의한 사고가 1건, 카운터웨이트 미장착이 1건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6] 세계 크레인 상반기(1월~6월) 전복사고 유형 분석
5. 사고 예방을 위한 제언
크레인 작업은 늘 위험성을 안고 작업하는 장비로 사고 예방을 위한 관계자들의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분석에서도 나타나고 있듯이 작업의 불안전성과 아웃트리거 설치, 지반 상태 등을 크레인 작업 및 설치 이전에 조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작업의 불안전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 내용과 중량물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둘째, 아웃트리거 설치의 미흡으로 사고 예방을 하기 위해서는 아웃트리거 받침대와 체결 핀 등을 사전에 점검하여야 작업 전에 체결 확인이 필요할 것이며, 셋째, 연약지반에 의한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크레인 설치 시 사전 조사를 통하여 설치 지점에 대해 지반 내력과 지내력을 조사하여 설치 지점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크레인 작업 관계자들이면 모두가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늘 해오던 작업이라는 안이함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특히 주중에 사고 발생 건수가 많이 나타나고 있어 주중 작업이 해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주초뿐만 아니라 주중에도 작업 안전에 관한 Tool Box 미팅을 작업의 세부적 검토를 통하여 서로가 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건설기계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내 건설현장 타워크레인 집중점검… 법 위반 99건 적발 (0) | 2021.01.22 |
---|---|
크레인 중대 재해 사고 분석 (0) | 2020.10.05 |
Indian shipyard crane collapse(인도 조선소 크레인 붕괴) (0) | 2020.08.06 |
부산신항 크레인 충돌사고 선박, 프로펠러 수면 위 노출상태로 무리한 운항 (0) | 2020.05.07 |
크레인 중대 재해 예방을 위한 사고원인 분석 방법론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