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과 줄걸이(Rigging) 정보 62

넓은 시야와 안전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넓은 시야와 안전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원격 제어 및 자동화 기술은 조종사의 신뢰와 안전을 향상시킨다. 원격 제어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작업 현장 및 작업자 보호 기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크레인 및 기타 기계의 무선 제어를 위한 무선 시스템 제조업체들은 조종사 안전 및 작업장 생산성 향상을 포함하여 이 기술의 많은 이점을 인용하고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작업자는 모든 각도에서 하중과 작동을 볼 수 있으며 인체 공학적 제어로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비용적인 면에서도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및 자동화는 업계의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항 기술로 “노동자 안전에 항상 중점을 두고 있지만, 위험이 존재하는 현장에서는 숙련된 인력..

자립형 타워크레인의 기술발전(Self-erecting tower cranes)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Self-erecting tower cranes은 현장에 과잉설비의 필요성을 없애며 보다 전통적인 자재처리 방식을 대체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북미 지역에서 Self-erecting tower cranes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이들 기계의 설계는 새로운 특징과 이점을 가지고 진화하고 있다. 미국 Libherr 북미지역 영업담당자인 Christoph Brandenburg는 "북미 대부분 지역에서 아직은 틈새 상품에 가깝기 때문에 Self-erecting tower cranes 시장은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점점 많은 기업이 이동식 크레인, 지게차 등에서 벗어나 새로운 인양 장비를 찾고 있다. 이동식 크레인보다 설치 공간이 작을 때 보다 컴팩트한 작..

사고 예방을 위한 크레인의 인양작업 계획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크레인 사고 발생은 인양작업 계획서 미비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인양작업 시 관련 인력이 각자의 역할에 대해 제대로 교육을 받으면 인양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성을 해소하려면 중량물 작업계획서는 필수적이다. 복잡한 인양작업이란 비정상적이거나 위험한 하중을 들어 올리는 작업으로 어렵거나 위험한 환경에서 수행되며,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수행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인양 장비가 필요하거나 특수 인양 장비를 사용한다. 인양작업의 안전은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인양작업계획은 인양작업 및 장비 규정이 핵심요구사항 중 하나이다. 최근 중량물 인양작업을 위해서는 중량물 인양작업 계획서가 법에 따라 필수 사항으로 되었으며, 고용주의 구내에서 작업할 때 계획 또는 ..

크레인의 원격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s for Cranes)(3)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원장 김인유 ■ 이동식 크레인의 원격 제어 세계적인 Covid-19 대유행에 비추어 볼 때,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거리를 유지한다는 생각은 적절한 사안이다. 건설적인 맥락에서, 안전거리 원칙은 이미 크레인 및 운송 장비 제조업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문 원격 제어 시스템 제조업체들은 운영자들이 작업현장의 위험 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는 첨단 기술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수년 동안 기술 축적을 하고 있다. 리모컨 산업이 기술의 진보를 최대한 활용하고 그들 자신의 일부에 기여함에 따라 제품 개발은 계속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가 크레인 제조업체인 Liebherr의 신형 RemoteDrive이다. RemoteDrive는 이 회사의 Liccon2 크레인 제어 시스템을 개발한 것..

크레인의 원격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s for Cranes)(2)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원장 김인유 ■ 원격제어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개발 최근 원격 제어 제조업체를 위한 주요 개발 중 하나는 새로운 무선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Danfoss UK 유통 업체 Iregasa의 Robinson은“크레인용 라디오 리모컨은 일반적으로 영국의 433MHz 및 869MHz에서 작동합니다. 현재 2.4Ghz가 등장하면서 블루투스 주파수로 향하고 있습니다.” 고정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의 근거리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는 Bluetooth 기술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10m에서 100m 사이입니다. 범위는 법에 따라 규제되는 송신기의 전력 출력에 의존합니다. 이 규정은 전력 출력을 10mW로 제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단에서 약 150m의 범위를 제공합니다. 개방형 산업 주파수 대역 ..

크레인의 원격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s for Cranes)(1)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원장 김인유 원격 크레인 조종은 4차산업과 5G 통신 기술 발전으로 커다란 관심을 끌게 되었다. 첨단 자동화 및 원격제어 기능을 갖춘 크레인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자동화 및 원격 작동이 오늘날 운영자의 주요 동향임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디지털화된 세계에서 물리적 거리는 더는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전 세계의 인터넷 연결 속도가 빨라지고 있고, 글로벌 접근성이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진행으로 인해 원격 크레인 작동이 디지털화되고 연결된 세계에서 얼마나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질문하게 된다. 현재 원격 크레인 운영 개념은 크레인 조종사를 크레인 조종석에서 작업현장 내 중앙 통제실로 이동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크레인 운행 속도가 빨라..

이동식 크레인 세계 시장 동향 분석

이동식 크레인 세계 시장 동향 분석(2019-2025) 1. 산업 동향 2018년 세계 이동식 크레인 시장 규모는 113억6000만 달러로 평가돼 2019년부터 2025년까지 6.1%의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여 2025년에는 약 170억 달러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증가하는 세계 인구와 인구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및 상업, 인프라 시설의 건설이 증가하면서 이동식 크레인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또한, 통신, 석유와 가스, 제조업 등 다양한 업종에 걸쳐 강화된 구조의 필요성이 시장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는 기존의 옵션에 비해 향상된 성능과 효율성으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수요를 창출하고 ..

타워크레인의 생산기술 수준 향상

타워크레인의 생산기술 수준 향상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원장 김인유 도시의 고도화가 가장 핵심적인 트렌드 중 하나가 되면서 타워크레인은 건설현장에서 독보적인 존재의 가치가 되어가고 있다. UN 경제사회국(the United Nations department for economic and social affairs)에 따르면, 전 세계의 인구는 2050년까지 98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동시에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고, 전 세계 인구의 66%가 도시지역에 살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의 경우는 80%이다. 이는 공간제약으로 인해 도시 건물이 고층화를 의미하고 있으며, 이는 타워크레인에 좋은 뉴스이다. Self-erectors과 Flat-tops에서부터 low-tops과 luff..

4차산업혁명과 크레인의 조종제어 기술혁신

4차산업혁명과 크레인의 조종제어 기술혁신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원장 김인유 2020년 3월 10일부터 14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CONEXPO-CON/AGG 2020이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는 다양한 조종제어와 기술혁신된 건설기계와 크레인 선보일 예정이다. 크레인에 있어서 다양한 요구에 맞게 조종제어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텔레매스틱(telematics:컴퓨터 통신기술), 카메라(cameras), 리프팅 용량과 관련된 새로운 기술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하며,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시간과 비용에 있어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기술은 다양성, 인상능력의 향상 그리고 운송비용의 효율성 등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는 지난 몇 년 동안 더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크레인의 가장 보..

유도 로프(taglines) 없이 매달린 중량물 제어 기술

유도 로프(taglines) 없이 매달린 중량물 제어 기술 건설기계산업연구원 원 장 김 인 유 매달린 중량물이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도 로프(taglines)를 사용한다. 유도로프의 사용은 위험하지만 다른 대안이 없다. 지난 몇 년동안 그 대안을 기다렸지만 별다른 해결책이 없었다. 그러나 호주에서 2개의 방법론이 나왔다. 타워크레인이 고층 건물에서 무거운 프리캐스트 패널을 올리는 작업을 조종사는 안전하게 일한다. 크레인의 성능은 감지기에 의해 수집되어 인터넷을 이용한 지구 반대편에 있는 본사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하중 자체는 바람에 흔들려 건물 위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높은 곳에 사람을 배치하여 신호하고 보조로프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당신의 숙련된 조종기술은 인정한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