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1

Dynapac develops ‘first of its kind’ electric tandem roller

Dynapac develops ‘first of its kind’ electric tandem roller (Dynapac, 동종 최초 전기 탠덤 롤러 개발) Compaction equipment manufacturer Dynapac has developed a “first of its kind” electric tandem roller, as part of its new Z.ERA initiative to eliminate emissions. The CC900e electric double-drum vibratory roller, which is currently being field-tested in Sweden, weighs 1.6 tonnes and has an operating drum widt..

Robot excavator operates alone for 24 hours

Robot excavator operates alone for 24 hours (24시간 혼자 작동하는 로봇 굴착기) Autonomous machine ‘key step’ on road to unmanned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 robotic excavator has been tested in real-world construction scenarios, working continuously for more than 24 hours. The autonomous excavator system(AES)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from Baidu Research Robotics, Auto-Driving Lab(RAL) and the Universit..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 입법예고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 입법예고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법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기 위해 시행령 제정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 → 40일간의 입법예고를 거쳐 시행령 확정 예정 □ 정부는 7월 12일부터 8월 23일까지 40일간「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정안을 입법예고(법무부) 할 계획입니다. ㅇ 법 제정(‘21.1.26) 직후부터 관계부처 합동(국무조정실, 법무부, 고용노동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으로 검토하여 시행령 제정안을 마련하였으며, 노ㆍ사 등 각계 의견수렴을 거쳐 입법예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ㅇ 제정안은 중대산업재해의 직업성 질병 범위, 중대시민재해의 공중이용시설 범위..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국토교통부공고 제2021-1000호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하는 데에 있어, 그 개정이유와 주요내용을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이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하여 「행정절차법」 제41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1년 7월 5일 국토교통부장관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1. 개정이유 내구연한이 도래한 타워크레인 정밀진단 수수료를 장비규모(정격하중)에 따라 구분하여 현실화하고 진단기준을 강화하는 한편, 불명확한 검사 부적합·구조변경 기준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검사대행자 행정처분 세부기준 등을 마련해 타워크레인 등 건설기계 안전성을 강화하고자 하며, 소형건설기계조종교육기관에 대한 등록기준 및 법정 등록신청서 등을 마련하는 등 운영상 일부 미비점을 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

건설 현장 추락사 5년 새 1,348명… 정부, 위험현장 집중점검

건설 현장 추락사 5년 새 1,348명… 정부, 위험현장 집중점검 추락사, 산재 사망자의 29%나 달해 안전설비 소홀 원인 후진국형 재해…선진국선 현장관리자 책임 강화 정부, 노후 크레인 교체 땐 1억 지원…점검 차량도 108대서 404대로 늘려 2021년 6월 22일 전북 전주시의 한 오피스텔 건설 현장에서 60대 근로자가 10m 아래로 추락해 숨졌다. 타워크레인과 건물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철거하던 중 몸을 지탱하는 줄이 끊어진 것이다. 같은 달 21일에는 전북 익산시에서 공장 지붕을 고치던 50대 남성이 갑자기 지붕이 무너지면서 6m 아래로 떨어져 숨졌다. ○ 건설 현장 사망자 10명 중 6명은 ‘추락사’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고로 숨진 근로자는..

건설관련정책 2021.07.08

풍력 발전기 설치를 위한 크레인

풍력 발전기 설치를 위한 크레인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풍력 터빈은 생산전기 증가 기술 개발로 인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설치를 위해 고용량 크레인이 필요하기 시작하였다. 크레인 산업이 풍력 발전 설치 및 유지관리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할 방법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목표를 설정하고 화력에 의한 에너지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육상 및 해상 풍력 에너지와 관련된 무거운 리프팅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대형 크레인이 담당하고 있다. 대형 크레인의 대부분 작업은 새로운 풍력 발전 단지에 새로 설치하거나 이전 세대를 대체하는 것으로 향상된 기술과 유지 보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풍력 터빈 제조업체가 더 크고 무겁고 더 큰 제품을 개발함에 ..

타워크레인 안전성을 높이고 골재수급을 안정화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6월 24일 열린 ‘건설산업혁신위원회*(국토부 제1차관, 이복남 서울대 교수 공동위원장)’에서 타워크레인 안전성 강화방안과 골재수급 및 품질개선 방안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 건설산업혁신위원회는 국토부․전문가․업계․노동계․시민단체로 구성, ‘18.4월부터 올해 2월까지 총 9차례 개최하여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 및 혁신 방안 등을 심의 ◈ 타워크레인 안전성 강화 방안 ▪부실 타워크레인 현장퇴출 등 소형 타워크레인 장비관리 강화 ▪타워크레인 운영계획 수립을 의무화하여 현장 관리 강화 ▪정부와 건설기계안전관리원의 현장 관리를 강화하여 공공부문의 관리감독 강화 ◈ 골재수급 및 품질 개선방안 ▪선별‧파쇄 골재 생산시설의 자연녹지지역 입지허용 등 공급체계 개선 ▪품질검사 제도 도..

주택 건설에서 Self erecting tower cranes의 효율성

주택 건설에서 Self erecting tower cranes의 효율성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1. Self erecting tower cranes의 부상 전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도시화 속도로 인해 주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익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주택 건설 계약 업체는 시간이 돈이며, 건설 속도를 높여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전략은 고객에게 안전, 노동 절약, 작은 공간에서 작업, 경제라는 것입니다. 주택 건설 업체는 7층 이하의 주택 건설에서 주로 사용하는 크레인은 이동식 크레인, 텔레 핸들러를 사용하였으나 비효율적이며,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최근 주택 건설에 필요한 크레인 중 self erecting tower cranes..

세계 크레인 시장에서 강력한 Rough Terrain(RT) Crane(2)

세계 크레인 시장에서 강력한 Rough Terrain(RT) Crane(2)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 인 유 5. Liebherr의 RT(Rough Terrain) Crane Liebherr는 일반적으로 3축 대신 2축 RT 크레인을 만드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합니다. 미국 일부 주에서 개선된 운송 물류를 위해 하나의 운송 단위로만 작동할 수 있는 80USt 버전의 LRT 1090-2.1을 제공합니다. LRT 1090-2.1은 ANSI B30.5, EN 13000, 호주 표준 (AS) 및 GOST 표준과 같은 모든 현재 규정을 준수하는 글로벌 균일 안전 표준을 획득하여 높은 안전 수준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고, 지원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크레인 제어 시스템에 포함하는 아우트리거 모니터가 표준으로 장착됩니다...

세계 크레인 시장에서 강력한 Rough Terrain(RT) Crane(1)

세계 크레인 시장에서 강력한 Rough Terrain(RT) Crane 건설기계산업연구원 김인유 코로나 19로 인해 크레인 시장의 어려움은 지속하고 있으나 Rough Terrain(RT) Crane 시장은 꾸준한 인기를 보인다. 2020년은 전 세계 모든 크레인 시장을 뒤흔든 것은 Covid-19이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에 의한 크레인의 기술혁신으로 2021년에는 새로운 모델 등장과 새로운 대리점 등 긍정적인 신호가 발생하고 있다. 업체별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갔다. 1. Link-Belt의 RT(Rough Terrain) Crane 미국 제조업체인 Link-Belt의 새로운 RT Crane은 110t(US 120t)/RT로 2019년 국내외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제품은 6단으로 11.6미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