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적 충격으로부터의 크레인 안전(Crane Safety from Electrical Shock)
크레인을 사용하는 모든 산업/건설현장에서는 항시 전기적 충격에 의한 장비 및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것은 “작업 전 안전 교육”을 통하여 예방 또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주의사항 및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크레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기적 충격에는 낙뢰, 고압선 접촉, 차체용접 등이 있습니다.
1. 낙뢰
(1) 낙뢰가 예상되는 날씨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배터리 전원 스위치 차단 혹은 배터리 터미널을 분리하고, 아웃트리거 세팅 시 타이어를 지상으로부터 최소 5센티미터 이상 띄운다.(유압식 크레인)
(2) 현장 사정상, 작업해야 하는 경우는 반드시 “작업 전 안전점검 회의”를 통해 “돌발 상황”에 대한 모의 훈련을 시행하여 “대피방법, 대피로, 대피 후 집합장소” 등을 사전에 숙지토록 해야 한다.
(3) 목적물에 대한 제어에는 반드시 “비전도성 로프” 를 사용한다.
(4). 낙뢰를 맞았을 경우
① 크레인 조종사는 조종석에 그대로 있어야 합니다.
(조종사가 낙뢰에 의한 충격으로 일시적인 혼수상태에 빠질 수도 있겠으나, 침착하게 모든 동작을 중지하고 전기적 방전에 필요한 약 5~10초 정도를 조종석에서 대기하면 됩니다.)
② 낙뢰에 의한 방전전압 및 전류는 붐과 크레인 본체를 통해 지표면으로 흐르게(접지) 됩니다.
③ 이때, 크레인 주위에는 높은 방전전압이 형성되며, 멀리까지도 낮은 방전전압이 형성되고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④ 또한, 주변의 장비 및 철 구조물들도 전기적인 접지 영향으로 방전전압 및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⑤ 탈출 시 행동 요령:
ⓐ 만약, 크레인을 벗어나기로 했다면, 반드시 점프하
여 탈출해야 합니다. 이때 절대로 신체 일부라도 접지
상태의 크레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탈출해야
합니다.
ⓑ 탈출 이후에는 지표면의 위험한 전압 차이 때문
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발을 끌거나, 천천히 깡충
뛰면서 접지 영향을 받는 지역을 벗어나야 합니다.
ⓒ 이때, 큰 걸음은 절대로 안 됩니다. 왜냐하면, 한 발은 고압지역 다른 한 발은
저압 지역에 있게 되므로 양발에는 전압 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전압 차는 사망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고압선 접촉
(1) 고압선 부근의 작업에는 모든 작업자가 극도의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 모든 움직임을 최대한 천천히 작동하여 충격/측면 하중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3) 고압선 부근 작업에 관한 최소 안전거리 (발주처, 지자체별, 국가별)를 확인하여,
이를(최소 유격 거리) 준수해야 합니다.
고압선 부근 작업 | |
고전압, KV |
최소 거리, ft(m) |
50 이하 |
10 (3.05) |
50 이상 200 |
15 (4.60) |
200 이상 350 |
20 (6.10) |
350 이상 500 |
25 (7.62) |
500 이상 750 |
35 (10.67) |
750 이상 1,000 |
45 (13.72) |
고압선 부근 통과 | |
고전압, KV |
최소 거리, ft(m) |
0.75 이하 |
4 (1.22) |
0.75 이상 50 |
6 (1.83) |
50 이상 350 |
10 (3.05) |
350 이상 750 |
16 (4.87) |
750 이상 1000 |
20 (6.10) |
(4) 책임 신호수를 선임, 관찰이 쉬운 장소에 위치토록 하여, 크레인의 어떤 부위라도 위험선 안으로 접근하는지 관찰토록 해야 하며, 이때 신호수는 크레인 조종사와 직접 통화가 가능한 유, 무선 장치를 갖추어야 합니다.
(5) 크레인의 안전제한장치(선회, 붐 상승/확장)를 최소 안전거리에 맞추어 세팅해야 합니다. (안전제한장치 설치된 크레인의 경우)
(6) 아웃트리거 세팅 시, 타이어를 지상과 최소 5센티미터 이상 띄운다. (유압식 크레인)
(7) “작업 전 안전점검 회의”를 통해, 돌발 상황에 대한
모의 훈련을 시행하여 대피방법, 대피로, 집합장소 등을 숙지토록 해야 한다.
(8) 목적물에 대한 제어에는 반드시 “비전도성 로프”를
사용한다.
(목적물 직접 접촉 엄금)
(9) 고압선에 접촉되었을 경우
① 크레인 조종사는 조종석에 그대로 있어야 합니다. (라인이 중성화될 때까지)
② 높은 방전전압 및 전류는 붐과 크레인 본체를 통해 지표면으로 흐르게 (접지) 됩니다.
③ 이때, 크레인 주위에는 높은 방전전압이 형성되며, 멀리까지도 낮은 전압이 형성되고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④ 주변의 장비 및 철 구조물들도 전기적인 접지 영향으로 방전전압 및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⑤ 탈출 시 행동 요령
ⓐ 만약, 크레인을 벗어나기로 했다면, 반드시 점프하여 탈출해야 합니다. 이때 절대로 신체 일부라도 접지상태의 크레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탈출해야 합니다.
ⓑ 탈출 이후에는 지표면의 위험한 전압 차이 때문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발을 끌거나, 천천히 깡충 뛰면서 접지 영향을 받는 지역을 벗어나야 합니다.
ⓒ 이때, 큰 걸음은 절대로 안 됩니다. 왜냐하면, 한 발은 고압 지역 다른 한 발은 저압 지역에 있게 되므로, 양발에는 전압 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전압 차는 사망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차체 용접
(1) 크레인의 정비 또는 필요에 따른 장비 설치 시, 크레인 차체에 전기용접을 하게 되는데, 이는 크레인에 전기적 충격으로 작용하여 전자/전기장치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2) 전기용접이 크레인에 전기적 충격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순간적으로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며, 이러한 충격은 Alternator Diode 와 크레인 전자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3) 근래에 생산된 대부분 크레인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CPU가 장착된 전자장치가 있으며, 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에 매우 취약합니다. 따라서 차체용접이 필요할 시는 유자격 정비사에 의해 절차에 따라 수행되어야 합니다.
(4) 차체 용접 시 유의사항:
- 주변의 인화물질 유무를 확인하여 적절한 안전조치를 취합니다.
- 만 충전된 적정 소화기를 비치합니다.
- 배터리 전원 스위치 차단 또는 배터리 터미널을 분리합니다.
- 용접 접지선을 가능한 용접부위와 가까운 부위에 연결합니다.
'교육·안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기계 종류와 정의 그리고 면허 (0) | 2019.12.16 |
---|---|
건설기계관리법 (0) | 2019.12.13 |
사단법인 한국크레인협회 크레인 안전기술 세미나 개최 (0) | 2019.09.27 |
[기고] 소형 타워크레인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대하여 (0) | 2019.08.31 |
차량탑재형 이동식 크레인, 고소 작업대 등 불시점검 (0) | 2019.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