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한국건설기계산업 결산
I. 판매 동향 개괄
자료 :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건설기계 국내출하는 신차 마케팅과 중고 수출 호조로 인한 대차수요 효과로 전년대비 5.5% 증가
2020년 건설기계 완성차 생산 및 출하는 74,556대 및 76,285대로 전년대비 각 10.1% 감소, 11.9% 감소했다.
2020년 건설기계 완성차 생산은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수요 급감으로 2016년이후 4년 만에 80,000대를 하회하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고, 글로벌 금융위기로 44,060대로 생산이 급감했던 2009년 이후 최저점을 기록하며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출하는 전형적인 상고하저 패턴을 유지하며 안정세를 유지한 반면, 수출은 2~3분기 중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에 버금가는 하락세로 고전을 면치 못했으나, 4분기 중 해외시장의 회복 기조가 반영되며 점진적인 회복세를 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건설기계 생산, 출하 동향(물량) >
(단위:대, %)
자료 :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주 : 완성차 신품 기준, CKD 제외
2020년 건설기계 국내출하는 25,582대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5.5% 증가했다. 국내출하가 이 같은 증가율을 시현한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해외 매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업계의 자구 노력과 중고 수출 호조에 기인한다.
실제로 업계는 강화되는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해 친환경, 고효율 장비를 연중 경쟁적으로 출시하며 적극적인 신차 마케팅에 나섰고, 중고 수출의 경우, 중고 굴착기 수출의 85%를 점유하고 있는 對베트남 수출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유지하며 대차수요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對베트남의 중고 굴착기 수출은 5500만달러로 전년대비 1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0년 국내출하는 생활형 SOC, 그린 뉴딜 중심의 예산 편성으로, 유지, 보수용 소형 장비는 증가한 반면, 대형 장비는 감소세를 지속하는 제한적인 성장을 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굴착기 국내출하를 살펴보면, 4톤 미만 미니굴착기 및 5.5톤급 굴착기 판매는 각 311대 및 4,070대로 전년대비 47.4% 및 11.9% 증가한 반면, 30톤급 이상 장비는 950대로 전년대비 14.3% 감소해 규격별 온도차를 반영했다. 또한, 미니굴착기와 함께 대표적인 컴팩트 장비로 분류되는 스키드스티어로더 판매는 243대로 전년대비 47.3% 감소한 반면, 대형 굴착기와 함께 토공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휠로더 판매는 216대로 전년대비 12.2% 감소한 현상도 소형 공사 중심의 전방산업의 호조와 무관하지 않다.
한편, 지게차 국내출하는 15,730대로 전년대비 0.2% 감소하며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2018~2019년 2년 연속 감소한 지게차 판매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경기 위축과 공장가동률 감소의 영향으로 상반기 중 3.1% 감소했으나, 하반기 중 점진적 회복세를 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동방식별 지게차 판매 현황을 살펴보면, 디젤식 판매는 7,953대로 전년대비 6.0% 감소, 전동식 판매는 7,683대로 7.1% 증가, LPG 판매는 94대로 2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콘크리트펌프 국내출하는 196대로 전년대비 14.0% 증가해 2016~2019년 4년 연속 감소세에서 벗어났으나, 2020년 판매량이 2015년 고점 대비 30% 수준에 불과해 수급조절 여파로 여전히 고전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편, 천공기 판매는 28대로 전년 대비 3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건설기계 생산 판매 동향(금액) >
(단위:십억원,백만$,%)
자료 :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주) 1. 생산 및 내수는 협회 기준 추산치, 수출 및 수입은 관세청 기준 확정치
2. 수출은 완성차(중고 포함), 어태치먼트, CKD, 부품 포함
완성차 해외출하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위축으로 2016년 이후 최저점 기록
2020년 건설기계 완성차 해외출하는 50,703대로 전년 동기대비 18.7% 감소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했고, 2016년(47,805대) 이후 최저점을 기록했다.
건설기계 완성차 수출은 코로나19 여파로 해외수요가 크게 감소한 가운데, 4~8월 중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에 버금가는 해외수요 절벽으로 크게 위축됐고, 9월 이후 점진적 증가세를 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건설기계 완성차 수출 현황 >
(단위: 대, %)
자료: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주) 증가율은 전년 동월, 동기 대비 증가율
2020년 건설기계 총 수출액 기준의 수출 지역 순위는 유럽, 북미, 기타아시아, 중국, 중동, 중남미, 대앙주, 아프리카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수출 증감률을 살펴보면, 중국(▲11.3%)을 제외한 대다수의 지역에서 두 자리수 감소율을 기록한 가운데, 북미(△21.0%), 중남미(△26.2%), 아프리카(△25.4%), 유럽(△16.2%), 기타아시아(△19.2%), 중동(△16.5%), 대양주(△2.7%) 지역 순으로 큰 의 감소율을 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 무역협회(MTI Code 725 수출액 기준)
< 건설기계 주요 수출국 현황 >
(단위:백만$)
자료 : 무역협회(MTI Code 725 수출액 기준)
지역별 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유럽 수출은 13억 800만달러로 전년대비 16.2% 감소해 2년 연속 감소하며 전 지역 수출의 26.7%를 점유했다. 이 중, EU 지역 수출은 8억 6700만달러로 전년대비 29.4% 감소했고, 비EU 지역 수출은 4억 4100만달러로 전년대비 32.4% 증가했다. 對유럽 굴착기 수출은 7억 4900만달러로 전년대비 15.2% 감소, 지게차 수출은 1억 2000만 달러로 2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수출은 10억 9500만달러로 전년대비 21.0% 감소, 전 지역 수출의 22.3%를 점유했다. 對북미 굴착기 수출은 3억 1900만달러로 전년대비 28.4% 감소했고, 지게차 수출은 2억 1600만달러로 전년대비 30.2% 감소했다.
기타아시아(중국 제외) 수출은 10억 3700만달러로 전년대비 19.2% 감소했고, 전 지역 수출의 21.1%를 점유했다. 이 중, 일본 수출은 2억 3400만달러로 전년대비 24.1% 감소했고, 인도 수출은 1억 6600만달러로 1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세안 10개국 수출은 4억 3400만달러로 전년대비 21.1% 감소한 가운데, 이 중, 베트남 수출은 1억 2500만달러로 전년대비 0.5% 감소, 미얀마 수출은 7500만달러로 73.3% 증가, 필리핀 수출은 6800만달러로 1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은 6억 7200만달러로 전년대비 11.3% 감소했고, 전 지역 수출의 13.7%를 점유했다. 2020년 중국 내 굴착기 판매는 총 292,310대로 40.0% 증가했고, 이 중 국내기업의 굴착기 판매는 26,483대로 전년대비 1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동 수출은 3억 6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6.5% 감소해 전 지역 수출의 6.2%를 점유했다. 중동 수출은 2015년 이후 6년 연속 감소한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은 7700만 달러로 전녀대비 19.1% 감소했고, 동 지역 수출의 25.2%를 점유했다. 이 밖에, 알제리 수출은 3400만달러로 전년대비 43.2% 감소, UAE 수출은 3300만 달러로 1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남미 수출은 2억 400만달러로 전년대비 26.2% 감소해 전 지역 수출의 4.2%를 점유했다. 이 중, 브라질 수출은 6900만달러로 17.6% 감소, 페루 수출은 2000만달러로 36.3% 감소, 칠레 수출은 1900만달러로 5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양주 수출은 1억 7400만달러로 전년대비 2.7% 감소해 전 지역 수출의 3.5%를 점유했고, 이 중, 호주 수출은 1억 1500만달러로 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 수출은 1억 1100만달러로 전년대비 25.4% 감소해 전 지역 수출의 2.3%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 지역 수출의 39%를 점유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수출은 4200만달러로 전년대비 2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세청이 집계한 2020년 건설기계 총 수출액은 총 49억 700만달러로 전년대비 15.5% 감소했고, 수입액은 8억 5100만달러로 전년대비 9.1% 감소, 무역수지는 40억 5600만달러 흑자로, 전년대비 16.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 무역협회(MTI Code 725 수출입액 기준)
자료 : 무역협회(MTI Code 725 수출액 기준)
출처 :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건설기계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크레인 매출시장 분석 (0) | 2021.12.07 |
---|---|
2021년 세계 건설기계 동향 (0) | 2021.09.03 |
두산인프라코어의 기록적인 3월..韓·中·美 굴착기 최대 실적 (0) | 2021.04.08 |
2019년 지게차 20대 제조업체 (0) | 2021.03.11 |
Kobelco, 미국에서 굴착기 생산 중단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