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러시아 통상정책 및 방향 전망
- 2020년 러시아 통상정책에서 EAEU 지역경제 강화가 핵심 과제 -
- 디지털 경제, 환경, 제조산업 재편, 산업 인프라 등에서 진출 도모해야 -
□ 2020년 러시아 주요 통상 이슈
ㅇ 2019년 9월에 발표된 ‘러시아 2024 사회경제 발전 보고서(Russia’s 2024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utlook)에 의하면, 2020년 러시아 대외교역 규모는 2019년 대비 1.6% 상승 전망
- 러시아 연방 경제개발부는 보고서를 통해 2019년 러시아 교역 규모는 6545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0년은 6649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
· 2019년 예상 교역 규모는 2018년 대비 6.2% 감소
2024년 러시아 대외교역 규모 전망
자료: 러시아 경제개발부
ㅇ 2020년 러시아 수출은 2019년 대비 0.3% 감소, 수입은 4.6% 증가 전망
- 2019년 러시아 수출 규모는 4068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0년은 4057억 달러로 전망
· 2019년 1~10월 러시아 실질 수출 규모는 342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5% 감소
· 러시아 수출 감소의 주요인은 우랄 원유 국제가격의 하락으로 1~10월 평균 우랄가격은 배럴당 63.53달러(전년대비 11.2% 감소)
- 2019년 러시아 수입 규모는 2477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0년은 2592억 달러로 전망
· 2019년 1~10월 러시아 실질 수입 규모는 2064억 달러로 전년대비 0.7% 증가
2020~2024년 러시아 대외교역 Outlook
지표·연도 | Outlook 기준 | 2018 | 2019E | 2020F | 2021F | 2022F | 2023F | 2024F |
대외교역(십억 달러) | 기본방향 | 691.8 | -654.5 | 664.9 | 702.2 | 743.7 | 796.3 | 859.5 |
낙관적 | 685.4 | 719.4 | 758.0 | 806.3 | 864.2 | |||
비관적 | 584.6 | 616.1 | 653.6 | 696.4 | 748.8 | |||
연간성장률(%) | 기본방향 | 16.9 | -5.4 | 1.6 | 5.6 | 5.9 | 7.1 | 7.9 |
낙관적 | 4.7 | 5.0 | 5.4 | 6.4 | 7.2 | |||
비관적 | -10.7 | 5.4 | 6.1 | 6.5 | 7.5 | |||
수출(십억 달러) | 기본방향 | 443.1 | 406.8 | 405.7 | 426.2 | 447.7 | 478.2 | 515.6 |
낙관적 | 424.7 | 441.2 | 458.9 | 484.5 | 515.6 | |||
비관적 | 337.7 | 354.8 | 374.9 | 396.6 | 424.2 | |||
연간성장률(%) | 기본방향 | 25.5 | -8.2 | -0.3 | 5.1 | 5.0 | 6.8 | 7.8 |
낙관적 | 4.4 | 3.4 | 4.0 | 5.6 | 6.4 | |||
비관적 | -17.0 | 5.1 | 5.7 | 5.8 | 7.0 | |||
수입(십억 달러) | 기본방향 | 248.7 | 247.7 | 259.2 | 276.0 | 296.0 | 318.1 | 343.9 |
낙관적 | 260.7 | 278.2 | 299.1 | 321.8 | 348.6 | |||
비관적 | 246.9 | 261.3 | 278.7 | 299.8 | 324.6 | |||
연간성장률(%) | 기본방향 | 4.3 | -0.4 | 4.6 | 6.5 | 7.2 | 7.5 | 8.1 |
낙관적 | 5.2 | 6.7 | 7.5 | 7.6 | 16.3 | |||
비관적 | -0.3 | 5.8 | 6.7 | 7.6 | 8.3 | |||
GDP성장률(%) | 기본방향 | 2.3 | 1.3 | 1.7 | 3.1 | 3.2 | 3.3 | 3.3 |
낙관적 | 2.0 | 3.1 | 3.2 | 3.3 | 3.3 | |||
비관적 | 1.1 | 1.9 | 2.3 | 2.5 | 2.5 | |||
우랄 유가 (배럴당 달러) | 기본방향 | 70.0 | 62.2 | 57.0 | 56.0 | 55.0 | 54.0 | 53.0 |
낙관적 | ||||||||
비관적 | 42.5 | 43.3 | 44.2 | 45.0 | 45.9 | |||
환율(USD/RUR) | 기본방향 | 62.5 | 65.4 | 65.7 | 66.1 | 66.5 | 66.9 | 67.4 |
낙관적 | 65.1 | 65.4 | 65.9 | 66.2 | 66.7 | |||
비관적 | 68.7 | 69.3 | 69.8 | 70.1 | 70.5 |
주: 기본방향(Baseline), 낙관적(Optimistic), 비관적(Pessimistic)
자료: Russia’s 2024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utlook and calculations by the KOTRA Moscow in reference to the outlook figures
ㅇ 2019년 러시아 대외교역 규모가 감소에 영향을 준 요소는 아래와 같음.
- 국제 보호무역주의, 미중 무역갈등, 서방국 및 UN의 경제제재 등이 직간접적인 요인
· 러시아 대외교역의존도: (EU) 43.1%, (중국) 15.7%
- 국제교역환경 악화로 러시아의 수출품목인 광물, 에너지 연료, 철강, 기계, 화학제품, 농산물 등의 수출이 감소했음.
·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 비중: (물 및 연료에너지) 64.3%, (철강) 9.8%, (기계) 6.7%, (화학제품) 5.9%, (농산물)
· 러시아 밀 수출은 세계 1위(2019년 밀 수출 규모는 약 3500만 톤 예상)
러시아 대외교역에 미칠 세계 주요 이슈 정리
요소 | 러시아 관점 | WB 관점 |
글로벌 경제 | - 다소 비관적 - 2020년 글로벌 경제성장은 2.5%이며, 경제국 간의 교역 갈등은 지속될 것 | - 2020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2.5% 전망, 2019년 대비 소폭 성장할 것(2019년 성장률 2.4% 예상, 국제무역 악화 영향) - 2021~2022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소폭 호전될 것 - 보호주의 기조로 인한 미중 교역갈등은 2020년 1월 15일 협상으로 일시적인 소강상태로 돌입했으나 변수는 상존 - 국제상품서비스 교역은 2018년 4% 성장률을 보였으나 2019년에 급격히 감소해 1.4% 성장률이 예상됨. - 2020년은 전년 대비 큰 성장률 기대되지 못해 전망치 1.9%에 그침. |
미국 경제 | - 2019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1% 예상 - 2024년까지 1~1.2% 경제성장률 감소 전망 - 첫 번째 경제성장률 감소의 주 요인은 세금제도 구조조정 결렬 - 두 번째 미국의 국제 경제제재 확대로 인한 적대국 증가 전망 - 세 번째로 중국 등 경제국과의 교역 갈등 지속 | - 2019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3%로 예상되며, 2020년은 좀 더 낮아진 1.8% 성장률 전망 - 미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대감은 현재까지 낮은 상태로 2021~2022년 동안 연 1.7%로 하향 전망 중 - 낮은 성장률 전망의 주요인은 투자와 수출 악화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 최근 중국과의 교역 협정에도 미국 상품에 대한 국제 교역 수입관세는 높아진 상황이며, 미국 투자 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 - 미국 정부의 노력에도 제조업 부문은 아직까지 고전 중인 것으로 평가 - 정부지원은 2020년 내에 감소하거나 지원제도 개편이 예상됨. - 한편, 최근 이뤄진 미중 교역 협상은 미국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평가도 존재 |
EU 경제 | - 2019년 EU 경제성장률은 1% 예상 - 2024년까지 0.7% 로 경제성장률 낮아질 전망 - 낮은 경제성장률의 주 요인은 생산성 저하 및 수출 악화, 두 번째 원인은 EU 국가 간 경제 차이 및 불균형 성장, 세 번째는 브렉시트 이후 경제협력 협상 결렬 전망 및 불확실성 | - 2019년 경제성장률은 1.1% 예상되며, 2020년은 1% 대 유지 전망 - 2019년 독일 공업부문 생산성 저하를 포함한 유럽 경제국 고전 지속 - 2021~2022년 EU 경제는 소폭 나아지면서 연 1.3% 성장률이 기대됨. 한편 브렉시트 이후의 협상단계로 중단기 동안에는 극적인 교역 규제 수립은 없을 것 |
중국 경제 | - 미중 교역갈등으로 대외교역 악화 전망 - 2019년 경제성장률은 5.9% 예상 - 2024년까지 경제성장률은 5.1%로 하락 전망 - 중국 부채율은 GDP의 260%를 기록하고 있어 투자환경 악화 중 | - 2019년 중국 경제성장률은 6.1%로 예상되며, 2020년은 소폭 감소한 5.9%로 전망 - 중국 국내 수요감소, 국제 교역 긴장감 등으로 2021년 경제성장률은 5.8%까지 전망 중 - 2019년은 국제 경제 불확실성으로 중국 정부의 투자 정책방향이 다소 불안정적이었고 미국 수입 관세 상향조정으로 수출환경은 악화된 상황 · 중간자재 수입이 감소됐으며, 수출도 하향세 - 대미 수출 악화 지속 |
국제유가 | - 글로벌 경제성장 저하로 에너지 연료 수요 감소가 유가 하락의 직접적 영향 미칠 것 - 2019년 평균 우랄 유가는 배럴당 62.2달러였고 2020년 유가는 57달러로 전망 중 · 42.5달러까지 최저 전망도 내놓고 있음. | - 2020년 국제유가는 2019년 대비 5.4% 감소 전망 · 2019년 평균 국제유가는 배럴당 61달러였으며, 2020년은 59달러로 전망 - 미국 석유 국제 공급은 2020년도 지속 증가 전망 - 2020년 국제 석유 소비는 2019년 대비 1% 상승 전망 - 미중 교역 갈등에 의한 불확실성은 국제 석유 소비에 악영향을 미칠 것 |
철강 | - 러시아 루블 환율 안정세로 원부자재 수출은 낙관적 - 국제정세 및 교역환경 악화 영향은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 2020년 국제 철강가격은 소비 감소로 지속 하락 전망 - 국제 석유 수요와 동일선상으로 미중 갈등이 국제 수요 악화 원인이 될 것 |
농산물 | - | - 2019년 기후변화에 따라 국제 농산물 생산성 차질, 수요 감소가 지속됐으나 2020년은 소폭 상승하면서 시장 안정화 전망 |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수집 및 정리
□ 러시아 정부의 통상정책 방향 및 기조
2020년 러시아 품목별 수출입 전망 요약 ㅇ 2020년 러시아 품목별 수출 전망: 광물 비중 감소, 제조 생산성 확대로 비광물 제품 수출 증가 - 2020년 러시아 광물 수출 비중은 2019년 대비 4.2% 감소한 61.8% 예상 · 광물에 포함되는 에너지 연료 비중은 2019년 대비 5.4% 감소한 54% 예상 - 화학제품, 농산물, 목재 및 펄프, 철강 등 주요 수출 품목은 모두 증가 예상 ㅇ 2020년 러시아 품목별 수입 전망: 2019년 수입의존도는 전년대비 소폭 감소, 2020는 소폭 증가 · 러시아 수입 의존도(GDP 비중): (2018년) 15%, (2019년) 14.9%, (2020년) 15.1% - 기계류는 2019년 대비 8% 증가 예상(비중: 49.1%) - 농산물, 철강, 의류 및 신발류는 수입은 소폭 증가 예상 · 2020년 소비재 수입규모는 858억 달러 전망, 2019년 대비 0.1% 감소 |
러시아 품목별 교역 변화 및 단기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HS 코드별 | 품목명 | 2018 | 2019(예상) | 2020(전망) | |||
수출 | 수입 | 수출 | 수입 | 수출 | 수입 | ||
전체 | 443,129 | 248,701 | 406,790 | 247,724 | 405,680 | 259,235 | |
점유율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증감률 | 25.5 | 4.3 | -8.2 | -0.4 | -0.3 | 4.6 | |
01-24 | 농산물, 식품류 | 24,920 | 29,736 | 22,760 | 29,153 | 24,039 | 29,478 |
점유율 | 5.5 | 12.5 | 5.5 | 12.3 | 5.8 | 11.8 | |
증감률 | 20.4 | 2.8 | -8.7 | -2.0 | 5.6 | 1.1 | |
25-27 | 광물 제품 | 291,804 | 5,012 | 265,440 | 4,502 | 254,290 | 4,172 |
점유율 | 64.9 | 2.1 | 64.3 | 1.9 | 61.8 | 1.7 | |
증감률 | 35.0 | 12.0 | -9.0 | -10.2 | -4.2 | -7.3 | |
27 | 에너지 연료 | 261,362 | - | 235,162 | - | 222,413 | - |
점유율 | 58.1 | - | 57.0 | - | 54.0 | - | |
증감률 | 35.3 | - | -10.0 | - | -5.4 | - | |
28-40 | 화학 제품(고무 포함) | 27,415.5 | 43,592 | 24,413 | 43 176.8 | 26,328 | 44,109 |
점유율 | 6.1 | 18.3 | 5.9 | 18.2 | 6.4 | 17.7 | |
증감률 | 14.4 | 8.2 | -11.0 | -1.0 | 7.8 | 2.1 | |
41-43 | 가죽, 털 제품 | 255 | 1,270 | 222 | 1,278 | 239 | 1,327 |
점유율 | 0.1 | 0.5 | 0.1 | 0.5 | 0.1 | 0.5 | |
증감률 | -11.1 | 12.4 | -13.1 | 0.7 | 7.8 | 3.8 | |
44-49 | 목재, 펄프, 종이 | 13,911 | 3,919 | 13,993 | 3,947 | 15,221 | 4,085 |
점유율 | 3.1 | 1.6 | 3.4 | 1.7 | 3.7 | 1.6 | |
증감률 | 18.1 | 8.8 | 0.6 | 0.7 | 8.8 | 3.5 | |
50-67 | 섬유, 신발류 | 1,214 | 14,845 | 1,222 | 15,121 | 1,329 | 15,874 |
점유율 | 0.3 | 6.2 | 0.3 | 6.4 | 0.3 | 6.4 | |
증감률 | 9.9 | 9.4 | 0.7 | 1.9 | 8.8 | 5.0 | |
71 | 귀금속 및 고가 광물 | 10,112 | 7,631 | 8,786 | 777 | 9,103 | 819 |
점유율 | 2.2 | 0.3 | 2.1 | 0.3 | 2.2 | 0.3 | |
증감률 | -8.5 | 31.9 | -13.1 | 1.8 | 3.6 | 5.4 | |
72-83 | 철강류 | 43,633 | 17,088 | 40,631 | 17,298 | 42,930 | 18,128 |
점유율 | 9.7 | 7.2 | 9.8 | 7.3 | 10.4 | 7.3 | |
증감률 | 17.7 | 8.8 | -6.9 | 1.2 | 5.7 | 4.8 | |
84-90 | 기계, 기기(운송기기 포함) | 29,146 | 112,718 | 27,587 | 113,306 | 29,885 | 122,393 |
점유율 | 6.5 | 47.3 | 6.7 | 47.7 | 7.3 | 49.1 | |
증감률 | 3.1 | 2.0 | -5.4 | 0.5 | 8.3 | 8.0 | |
68-70, 91-97 | 기타 | 7,151 | 9,548 | 7,642 | 8,955 | 8,202 | 8,647 |
점유율 | 1.6 | 4.0 | 1.9 | 3.8 | 2.0 | 3.5 | |
증감률 | -2.6 | 9.5 | 6.9 | -6.2 | 7.3 | -3.4 |
자료: Russia’s 2024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utlook
ㅇ 2020년 러시아 주요 통상 정책 방향은 아래와 같은 요소들로 전개될 전망
- 유라시아경제연합 기준 통상 정책 수립
- 지속되는 서방경제제재
- 수입대체산업 정책에 의하 수입의존도 하락
- 첨단기술을 기반한 산업 발전 및 환경 조성
- 글로벌 에너지 연료 시장에서 안정적 공급 포지셔닝
- 비에너지 연료 상품 수출 확대
- 지리적 및 지정학적 기준으로 국제관계 개선
ㅇ 2019년 10월 8일, 유라시아 최고 경제연합 제19조(EurAsia Supreme Economic Union #19)가 발효되면서 2020년 EAEU의 주요 통상 정책 방향은 아래와 같은 요소로 추진 전망
- CIS 지역협력 강화와 EU, SCO(상하이협력기구), ASEAN, APEC 등 지역경제연합과 점진적이고 상호보완적 경제 다이얼로그 추진
- 지역경제연합 외 지역 국가별로 상호보완적 경제 협력 강화
- EAEU 주요 수출국과 교역 상품 다변화
□ 추진방안(Action Plans)
ㅇ ‘2018~2024 러시아 국제협력 및 수출’ 국가 프로젝트(2018년 12월 24일 발표)에 따르면 러시아 통상정책 주요 목표는 비에너지 연료 상품, 농산물, 서비스 수출 확대임.
‘2018-2024 러시아 국제협력 및 수출’ 프로젝트 목표
(단위: 십억 달러)
지표 내용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비 에너지연료 상품 수출 | 135.1 | 149.0 | 160.0 | 167.0 | 181.0 | 202.0 | 226.0 | 250.0 |
경쟁력 있는 공산품 수출 | 114 | 126 | 136 | 142 | 153 | 168 | 185 | 205 |
기계 수출 | 33.0 | 34.0 | 37.0 | 39.0 | 43.0 | 48.0 | 53.0 | 60.0 |
화학제품(석유제품 포함) 수출 | 17.4 | 20.8 | 22.4 | 24.1 | 25.9 | 29.2 | 32.9 | 37.0 |
철강제품 수출 | 42.1 | 49.5 | 51.0 | 52.5 | 54.0 | 55.3 | 56.6 | 58.0 |
목재 수출 | 9.5 | 11.5 | 12.4 | 13.4 | 14.5 | 15.3 | 16.1 | 17.0 |
의약품 및 화장품 수출 | 1.4 | 1.6 | 1.8 | 2.1 | 2.3 | 2.9 | 3.4 | 4.0 |
경공업 상품(소비재) 수출 | 1.2 | 1.3 | 1.5 | 1.7 | 1.9 | 2.0 | 2.2 | 2.3 |
농산물 수출 | 21.6 | 23.0 | 24.0 | 25.0 | 28.0 | 34.0 | 41.0 | 45.0 |
서비스 수출 | 57.8 | 64.0 | 70.0 | 76.0 | 82.0 | 88.0 | 94.0 | 100.0 |
주*: 실질 수출
자료: 보고서(National Projec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xports for 2018-2024)
ㅇ 2020년 러시아 통상정책 추진 목표는 아래와 같음.
- 러시아 85개주와 핵심 수출국가 간의 수출지원 시스템을 통합
- 러시아 수출센터(정부기관 합작법인)의 디지털 플랫폼에 “One Window” 정보 시스템 론칭
- 13개 주요 수출국에 러시아 수출지원사업 홍보
- EAEU 공동 서비스 시장 구축
□ 주요 통상 파트너 국가에 대한 정책
ㅇ 러시아는 EAEU FTA 체결로 통상 파트너십을 구축 중이며, 현재까지 베트남, 싱가포르, 세르비아와 EAEU FTA 체결 완료
- EAEU FTA 체결 후 러시아 교역은 베트남과 세르비아과는 호전됐으나 싱가포르는 2019년 기준 악화
- FTA 체결 협상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곳은 이집트, 이스라엘, 인도이며 한국과는 서비스 분야 FTA 체결 협상 중
· 2020년 1월 15일 자 TASS 뉴스에 따르면 인도 FTA 협상 조항은 마무리 단계이며, 상호 투자보호 협정서 초안은 완성됐다고 함.
EAEU FTA 체결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체결국 | 발효 시점 | FTA 발효 전후 러시아와의 교역 변화 | ||
베트남 | 2015년 5월 29일 | (2015년) 3,895 | (2018년) 6,081 | (19년 11월) 4.520 |
싱가포르 | 2019년 10월 1일 | (2015년) 3,007 | (2018년) 3,659 | 3,694(전년대비 -22%) |
세르비아 | 2019년 10월 25일 | (2015년) 1,635 | (2018년) 2,096 | 2,348(전년대비 24%) |
ㅇ 2020년 러시아 FTA 체결 또는 이에 준한 경제협력 대상은 아프리카 지역임.
- 2019년 10월 23~24일 러시아 소치(시)에서 개최된 ‘러시아-아프리카 서밋’ 동안 러시아의 아프리카 협업 전략이 매우 구체화됨.
· 2019년 하반기 기준 러시아-아프리카 연간 교역 규모는 200억 달러 수준이나 향후 4년이내 2배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게 협력 방향의 핵심 목표이며, 방위산업에서 소비재까지 교역 다변화가 실현 방안임.
· 2025년까지 아프리카 소비시장은 7조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는 게 러시아 경제 전문가들의 의견
□ 러시아 통상정책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ㅇ 러시아 전체수입 상승 전망으로 대러시아 한국 수출도 소폭 증가 예상
- 2020년 러시아 전체수입은 2019년 대비 4.6%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정부 주도 인프라 프로젝트가 활발해져 자본재(산업 기자재 등) 수입 시장이 전반적으로 밝은 상황
· 품목별로 기계 수입이 8% 증가할 것이며 철강재 4.8%, 신발류 등 소비재 수입이 5% 증가 전망
2020년 1월 1~20일 대러시아 한국 13대 품목 수출 현황
ㅇ 호조품목 분석 ① 일반기계(56.3%↑): 국제 수요 감소로 러시아 제조업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기대감은 적은 편이나 인프라 구축 국가 프로젝트로 건설기계 수요 확대는 지속될 전망 ② 철강제품(8.8%↑): 2019년 4분기간 계절적 요인으로 철강제품 수입이 감소 반면 2020년 1분기는 연간 수요 대비 수입이 소폭 증가할 것 ③ 가정용 전자제품(9.6%↑): 일반적으로 신상 제품에 대한 기대감이 연초 수요증가의 주요인이 되고 있으며, 연간 대비 초동 물량 확보 및 다양한 할인행사로 당분간 수입은 증가할 것(자료: Svyaznoy) |
ㅇ 러시아 환경 프로젝트가 구체적인 추진되면서 폐기물처리 사업 진출 전망이 밝음.
- 러시아 폐기물 처리는 매립이 95% 비중으로 전통적인 처리방식으로는 환경문제 해결이 불가능하고 국제 환경기준에 절대적으로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정부는 인식 중
- 첨단 기술력 기반 처리 방식으로 도약하고자 지난 3년간 국제기준에 준한 폐기물 처리 기반을 구축(F/S 등)하고 있었으며, 향후 1~2년 이내에 유럽식 에코시스템 구축을 실현하는 게 목표임.
ㅇ 러시아 디지털 경제 실현 노력으로 첨단 기술력 진출 및 제조산업 기술협력으로 진출 필요
- 5G, 자율주행, 스마트 팜, 스마트 시티 등 러시아 미래 신성장 부문 진출 확대를 기조를 적극 활용하고 디지털 산업 GVC 구축 진출을 도모해야 할 것
푸틴 4기 정권 정책방향 ㅇ 신성장 모멘텀 확보를 통한 저성장 국면 탈피(ICT, 디지털 경제 등) ㅇ 인프라 개발을 통한 성장기반 구축(물류인프라 현대화 및 개선) |
자료: 관련 현지정보(www.economy.gov.ru/material/directions/makroec/prognozy_socialno_ekonomicheskogo_razvitiya/prognoz_socialno_ekonomicheskogo_razvitiya_rf_na_period_do_2024_goda_.html, https://finance.rambler.ru/markets/42159770-rossiya-v-sezone-2019-2020-sohranit-mirovoe-liderstvo-po-eksportu-pshenitsy-minselhoz-ssha/, http://government.ru/projects/selection/739/35564/, https://tass.ru/ekonomika/7520875, www.themoscowtimes.com/2019/12/24/foreign-policy-experts-map-russias-plans-for-2020-a68636 등), 러시아 재경부 정보(https://www.minfin.ru/ru/press-center/?id_4=36836-informatsionnoe_soobshchenie), 관련 보고서(www.if24.ru/rossiya-obgonit-kitaj-po-tempam-rosta-tsifrovoj-meditsiny/, www.rosminzdrav.ru/poleznye-resursy/natsproektzdravoohranenie/tsifra,
http://static.government.ru/media/files/9ES7jBWMiMRqONdJYVLPTyoVKYwgr4Fk.pdf 등), 러시아 연방 관세청(http://customs.ru/statistic), 세계은행 관련 정보(www.worldbank.org/en/news/press-release/2020/01/08/modest-pickup-in-2020-amid-mounting-debt-and-slowing-productivity-growth),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해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레인제조업체와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0) | 2020.04.21 |
---|---|
Bauma CTT Russia 2020 전시회 연기 (0) | 2020.03.24 |
SaMoTer 전시회 연기와 Conexpo 전시회는 취소 없음 (0) | 2020.03.04 |
4월부터 한-인도 CEPA 원산지검증 ‘주의보’ (0) | 2020.02.27 |
베트남 정부, 다낭 IT 파크 마스터플랜 최종 승인 (0) | 2020.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