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기술정보

크레인 줄걸이작업 연구(CRANE RIGGING STUDY)의 필요성

건설기계산업연구원 2013. 9. 14. 22:36

크레인 줄걸이작업 연구(CRANE RIGGING STUDY)의 필요성

 

1. 국내 건설현장에서의 “RIGGING”은 생소한 단어이지만, 이는 크레인의 줄걸이 작업을 뜻하며, 해외 건설현장에서는 그 전문성을 인정하여 “Rigging Engineering”이라 통칭하고 있습니다. 또한 Rigger(줄걸이 작업자)는 전문 교육기관의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고 수료증(Certificate)”를 소지하여야 크레인 인양작업에 임할 수 있으며, 특히 중량물 인양 작업의 경우 자격을 갖춘 Rigging Engineer가 작성한 Heavy Lifting Plan을 발주처에 제출하여 사전 승인을 받은 후, 자격을 갖춘 Rigging Supervisor에 의해 중량물 인양작업을 지휘토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크레인 안전의 1차적인 책임은 적법한 면허를 소지한 조종사에게 있으므로, 만약 불 안전한 인양작업이라 판단될 경우에는 이에 대한 작업을 거절하고, 즉시 지휘계통에 따른 상급자에게 이를 보고하여 불안전한 요소를 제거한 후 작업을 수행토록 해야 합니다.

 

3. 크레인 인양작업을 조종사가 모든 것을 할 수 없으므로 Rigger(줄걸이 작업자)가 필요하며, Rigger는 전문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과정을 이수한 사람이어야 하며, 조종사를 보조하여 안전한 줄걸이 작업을 수행해야 할 2차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Rigger는 인양작업에 필요한 Rigging Component(리깅 장비)를 선정할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아울러 Load Chart를 이해하고 Load Calculation을 수행하여 인양작업의 안전 여부를 확인할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4. 따라서 크레인 조종사와 줄걸이 작업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업하던 종전의 관행에서 벗어나 전문교육기관의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여, 안전한 크레인 인양작업을 수행토록 해야 하겠습니다.

 

5. Rigging Study (1) – 무게 중심에 따른 슬링와이어의 부하 변화

   

5-1). 무게중심이 가운데 있고, 2개의 슬링으로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면, 부하는 균등하게 양분됩니다.

      그림A와 같이 중량18,000 파운드, 길이12피트 일 때, 각 슬링은 각각 9,000 파운드를 균등 부담합니다.

 

5-2). 그러나 그림B와 같이 무게 중심이 가운데 있지 않다면 각 슬링의 부하는 균등하지 않게 됩니다.

      * 산출 공식: 슬링1 부하= y ÷ (x + y) x Load weight

                   슬링2 부하= x ÷ (x + y) x Load weight

 

5-3).예제: 부하 = 18,000 lbs, 길이 12피트, 무게중심3피트 지점 일 때,

                  슬링1 부하 = 9 ÷ (3+9) x 18,000 lbs = 13,500 lbs

                  슬링2 부하 = 3 ÷ (3+9) x 18,000 lbs =  4,500 lbs

 

 

 

 

 

 

 

 

6. Rigging Study (2)- Crane Rigging Study 필요성

퀴즈: 어떤 현장에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타워크레인 조립을 진행하였다면 안전한 작업이었을까요?  

         작업순서: (1) 크레인 A BHook을 지상에서(position 1) 줄걸이 한다.

                  (2) 붐을 타워 연결위치(높이) 까지(position 2) 인양한다.

                  (3) 타워 붐 PIN을 마스트에 연결한다.

                  (4) 크레인 B를 철수한다.

                  (5) 타워 붐의 Pendent wire를 연결한다.

                  (6) 크레인 A를 철수한다. .

     *정답: No, 사고가 발생합니다!

 

해설: ① 지상에서(Position 1) 각 크레인에 걸리는 하중을 계산합니다.(총부하 = 40 kip)

         크레인 A 부하= [20’/(40’+20’)] x 40 kip = 13.33 kip

         크레인 B 부하= [40’/(40’+20’)] x 40 kip = 26.67 kip

 

         , 지상(Position1)에서의 부하: 

             크레인A 13.33 kip 의 부하,

             크레인B 26.67 kip 의 부하가 걸립니다. (1 kip =1,000 lbs)

 

      Capacity chart 에 의한 각 크레인의 정격 용량을 역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크레인A 의 정격부하(100%) = 13.33/90% = 14.81 kip,

         크레인B 의 정격부하(100%) = 26.67/80% = 33.34 kip

 

      ③ 타워 연결위치(Position2)에서, 타워의 핀을 마스터에 꼽고 크레인B 의 부하를

            거하면, 크레인A의 부하는30.00 kip로 증가하며, 이것은 정격 부하의 225%를 감당해야 함으로 사고가 발생합니다.

 

 

 

 

 

       * 120’÷160’x 40 kip = 30.00 kip

         = (CG to Master pin)÷(Crane A lift point to Master pin) * 40 kip = 30.00 kip

 

      ④ 타워 연결위치(Position2)에서, 타워의 핀을 마스터에 꼽고 크레인A 의 부하를제거하면, 크레인B 의 부하는

        48.00 kip로 증가하며, 이것은 정격 부하의 180%를 감당해야 함으로 역시 사고가 발생하게 됩니다.

 

         * 120’ ÷100’ x 40 kip = 48.00 kip

           = (CG to Master pin)÷(Crane B lift point to Master pin) * 40 kip = 30.00 kip

 

 

: 따라서, 상기 인양작업은 어떤 크레인의 부하는 먼저 제거하던 간에 필연적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잘못된 Rigging Plan" 이었다고 하겠습니다.  

  이 예제는 실제 미국에서 발생했던 중대 크레인 사고이었으며, 2대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공중에서 작업할 때, 한쪽 크레인에서 다른 쪽 크레인으로 포착하기 어려운 부하이동이 종종 발생하며, 이는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겸비한 "Rigging Specialist"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끝.

 

자료 : 한국크레인협회 카폐에서 ....

주의 : 본 내용을 사용하시기 위해서는 그 출처를 한국크레인협회로 명기해 주시길 바랍니다.